※ 전적으로 경험에 의한 것이고 지역마다 상이함을 유의해야 한다.
1. 오수처리시설의 경우
1. 화장실 변기 물을 내린다.
㉠ 변기의 설치확인 목적
㉡ 변기 오수가 오수처리시설로 유입되는지 확인
2. 세면대 및 화장실 바닥 물을 내린다.
㉠ 세면대의 설치확인 목적
㉡ 세면대 및 화장실 바닥 물이 오수처리시설로 유입되어야 한다.
3. 생활하수 맨홀 및 오수받이 설치 여부를 확인한다.
㉠ 변기에서 내려오는 오수가 바로 오수처리시설로 유입되는지 확인
㉡ 세면대 및 화장실 바닥 물이 생활하수맨홀을 거쳐서 유입되는지 확인
㉢ 생활하수 맨홀의 뚜껑이 빗물 유입이 되지 않도록 잘 닫히는지 확인
㉣ 생활하수 맨홀 뚜껑은 그레이팅이 안되는 이유는 빗물의 유입 때문이다.
( ※ 빗물의 유입은 절대 안됨, 생활하수맨홀 대신 오수받이를 반드시 설치하는 곳도 있다.
각 지자체에 꼭 확인해야 한다. )
4. 전기연결 상태를 확인한다.
5. 가동상태확인기기 작동 상태를 확인한다. ( 대개 폭기 50분 - 반송 10분 으로 설정되어 있다 )
6. Blower의 가동 상태를 확인한다. ( Blower : 공기 주입 장치 )
7. 오수처리시설 내 폭기조의 폭기여부를 확인한다.
( 폭기 : Blower에서 주입되는 공기가 오수처리시설내의 폭기조로 잘 전달되는지를 확인한다. )
8. 반송타임 일때 반송이 되는지를 확인한다.
( 반송 : 침전 슬러지를 폭기조로 이송 )
9. 오수처리시설 맨홀 상부에 안전망 설치확인 ( # : 우물정자 )
10. 상부콘크리트 마감상태를 확인한다.
11. 환기구 설치 및 환기팬의 설치를 확인한다.
12. 환기구에 방충망을 설치했는지 확인한다. ( 모기등의 해충 유입 유출을 방지 )
2. 단독정화조의 경우
1. 화장실 변기 물을 내린다.
㉠ 수세식변기의 설치확인 목적
㉡ 단독정화조 - 변기 오수가 정화조로 유입되는지 확인
2. 세면대 및 화장실 바닥 물을 내린다.
㉠ 세면대의 설치확인 목적
㉡ 단독정화조 - 세면대 및 화장실 바닥 물이 정화조로 유입되면 안된다.
3. 생활하수 맨홀 및 오수받이 설치 여부를 확인한다.
㉠ 변기에서 내려오는 오수가 바로 정화조로 유입되는지 확인
㉡ 세면대 및 화장실 바닥 물이 생활하수맨홀을 거쳐서 관로 또는 하천으로 방류되는지 확인
㉢ 생활하수 맨홀의 뚜껑이 빗물 유입이 되지 않도록 잘 닫히는지 확인
㉣ 생활하수 맨홀 뚜껑은 그레이팅이 안되는 이유는 빗물의 유입 때문이다.
( ※ 빗물의 유입은 절대 안되며, 생활하수맨홀 대신 오수받이를 반드시 설치하는 곳도 있다.
각 지자체에 꼭 확인해야 한다. )
4. 정화조 맨홀 상부에 안전망 설치확인 ( # : 우물정자 )
5. 상부콘크리트 마감상태를 확인한다.
6. 환기구 설치 및 환기팬의 설치를 확인한다.
7. 환기구에 방충망을 설치했는지 확인한다. ( 모기등의 해충 유입 유출을 방지 )
'정화조관련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건물부속 창고 (0) | 2014.12.12 |
---|---|
캠프장 야영장 (0) | 2014.12.08 |
정화조 설치신고에서 준공까지 과정 (0) | 2014.10.07 |
개인하수처리시설 설치전 사전검사지역 (0) | 2014.09.29 |
상수원지역 행위규제 내용 표 (0) | 2014.09.24 |